트윈모션 2022.2 출시 노트 | 트윈모션 문서

트윈모션 2022.2 출시 노트

트윈모션 2022.2의 출시 노트입니다.

Windows
MacOS
Linux

트윈모션 2022.2.2 가 출시되었습니다.

기존 사용자라면 컴퓨터에 설치된 에픽게임즈 런처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습니다.

신규 사용자는 여기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트윈모션 지원 커뮤니티에서 이번 출시에 대한 토론의 장을 열어 의견을 나눌 수 있습니다. 버그를 신고하려면 여기에 문의해 주세요.

새 소식

트윈모션 내 스케치팹 라이브러리 통합

이제 스케치팹 라이브러리도 퀵셀 메가스캔 라이브러리와 같이 트윈모션에서 통합 제공됩니다. 에셋을 다운로드하려면 에픽게임즈 계정으로 로그인하세요. 트윈모션에 포함된 스케치팹 라이브러리에는 약 70만 개의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브젝트를 다운로드했다면, 트윈모션 씬에 드래그 앤 드롭할 수 있습니다.

트윈모션은 4개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유형(CC BY, CC BY-SA, CC BY-ND, CC0)에 따라 스케치팹 라이브러리의 에셋을 필터링합니다. CC0 에셋 카테고리를 제외한 모든 에셋은 저작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CC 라이선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웹사이트를 참조하세요.

제한 사항:

  • 이미 스케치팹 계정이 있다면, 사용자의 조직 또는 사용자가 직접 받은 스케치팹 3D 모델에 액세스할 수 없으며 스케치팹 라이브러리에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모든 스케치팹 오브젝트는 병합되어 제공되며, 오브젝트의 지오메트리를 편집할 수 없습니다.

  • 애니메이팅한 오브젝트와 스켈레탈 애니메이션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 Frosted Glass, Sheen 등 복합적인 셰이더를 가진 특정 머티리얼은 기본적으로 트윈모션의 일반 머티리얼로 변환됩니다.

  • 오브젝트, 머티리얼과 일반 머티리얼은 라이브러리에서 뷰포트 내 씬으로 드래그했을 때 인스턴스화되지 않습니다.

  • 스케치팹 모델은 대규모의 사용자 커뮤니티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트윈모션으로 가져오면 머티리얼, 모델 정의, 스케일, 방향이 일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스케치팹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모델은 트윈모션에서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모델을 트윈모션에서 드래그 앤 드롭하면 계층구조에 빈 폴더가 생성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브러리의 스케치팹 에셋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고해상도 익스포트를 위한 타일 렌더링

이제 타일 렌더링 기술을 통해 GPU 메모리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이미지와 비디오를 더 높은 해상도(최대 64K)로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및 영상의 포맷 세팅에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제한 사항:

  • 고해상도 익스포트 옵션을 사용하면 다음 비주얼 세팅의 퀄리티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스크린 스페이스 리플렉션(Screen Space Reflections, SSR), 스크린 스페이스 앰비언트 오클루전(Screen Space Ambient Occlusion, SSAO), 글로벌 일루미네이션(Global Illumination, GI), 렌즈 플레어(Lens Flare), 뎁스 오브 필드(Depth of Field, DoF), 블룸(Bloom). 패스 트레이서를 사용하면 이 중에서 렌즈 플레어, 뎁스 오브 필드와 블룸만 적용됩니다.

  • 타일 렌더링 익스포트 옵션을 활성화하면 GPU 메모리의 제한 사항을 우회할 수 있는 반면에 최종 이미지 생성을 위해 타일을 구성하는 작업에 따른 렌더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시스템 RAM 사양이 필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미지 및 파노라마 익스포트 세팅비디오 익스포트 세팅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HDRI 백드롭

라이팅 도크가 한층 발전했습니다. 이제 다이내믹 스카이, 스카이 라이트 HDRI(구 스카이돔), 새로운 HDRI 백드롭 이 있는 환경(Environment) 그룹이 추가되었습니다.

HDRI 백드롭을 선택하면, 씬의 반구 오브젝트를 바탕으로 새로운 환경 표현이 활성화됩니다. 백드롭 컨트롤에서 ‘더보기...' 버튼을 누르면 크기, 프로젝션 오프셋 같은 정확한 파라미터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스카이돔 워크플로와 마찬가지로, 여러 미디어용으로 씬에 다수의 백드롭을 추가하여 하나의 씬을 여러 측면에서 보여줄 수 있습니다.

역효과 및 제한 사항:

  •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이 사용되면 백드롭이 더 많은 ‘파이어플라이(Firefly)' 아티팩트를 유발합니다. 렌더 세팅에서 파이어플라이 세팅을 적절히 낮춰야 합니다.

  • 기울이기(Tilt) 파라미터를 리플렉션에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기울이기가 적용된 파노라마는 리플렉션에서 여전히 아무것도 바뀌지 않은 상태로 표시됩니다).

  •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 시 리플렉션에 두 개가 겹치는 환경 같은 유령 이펙트가 보입니다. 씬의 앰비언트 값을 최소화하면 이러한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실제 텍스처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트윈모션 클라우드 프레젠테이션에서 백드롭의 해상도는 1K로 제한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브러리의 트윈모션 에셋 문서와 미디어 비주얼 세팅 문서의 라이팅 세팅을 참조하세요.

피직스 기반 에셋 배치 툴(얼리 액세스)

이제 뷰포트에서 실시간으로 리지드 바디 피직스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오브젝트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콜리전과 함께 이동(Move with collision)중력(Gravity) 툴을 툴바에서 바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콜리전과 함께 이동 툴은 개별 또는 여러 오브젝트를 이동, 회전, 스케일 툴로 조작할 때 사용하여 씬의 오브젝트가 서로 교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콜리전과 함께 이동 툴이 활성화되면, 스케일 툴의 동작이 약간 달라집니다. 선택된 오브젝트의 스케일을 조절하는 대신, X, Y, Z 축에 따른 기즈모 위치에서 오브젝트를 분리하거나 묶습니다.

중력 툴이 활성화되면, 씬에서 선택된 모든 오브젝트가 중력의 영향을 받은 것처럼 떨어집니다. 오브젝트가 자연스러운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사실적인 배치가 가능합니다.

피직스 툴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이며, 다음과 같은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 현재 피직스 툴은 단순한 지오메트리 메시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오브젝트는 피직스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포인트 클라우드 파일, 라이트, 차량, 나무, 랜드스케이프, 컨테이너, 툴, 사운드, 문, 파티클, 데칼, 애니메이팅된 사람, 동물.

  • 피직스의 영향을 받는 오브젝트 주변으로 단순한 컨벡스 바운딩 박스를 생성하여 중력과 콜리전이 실시간으로 일어나게 하므로, 오브젝트의 접점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 오브젝트에 피직스를 활성화했을 때 오브젝트가 하이 폴리 메시와 교차한다면, 복잡한 계산으로 인해 일시적 멈춤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오브젝트가 평면에 놓였을 때 콜리전과 함께 이동 툴 로 오브젝트를 표면에 따라 움직이면, 마찰력으로 인해 오브젝트와 기즈모 위치 사이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표면에서 오브젝트를 몇 밀리미터 띄우면 이 문제가 해결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툴바 문서의 피직스 기반 에셋 배치 툴(얼리 액세스)을 참조하세요.

디자인 소프트웨어에서 라이트 임포트(데이터스미스)

이제 데이터스미스 씬(다이렉트 링크 또는 .udatasmith 파일)에 포함된 라이트를 트윈모션에 임포트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옵션이 추가되었습니다. 프로젝트를 임포트할 때 라이트나 메시 또는 두 개를 모두 동시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임포트된 라이트에 특정 파라미터를 적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라이트 세팅 옵션이 추가되었습니다. 원본 사용(Use original), 강도를 300lm으로 설정(Set intensity to 300 lm), 전체 값을 TM 기본값으로 설정(Set all values to TM default).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스미스 다이렉트 링크 워크플로데이터스미스 파일 임포트 워크플로임포트 옵션(Import Options) 을 참조하세요.

트윈모션 클라우드의 더 복잡한 프레젠테이션 지원

최근 차세대 클라우드 GPU 지원과 함께 클라우드 인스턴스의 RAM 용량을 4배, VRAM 용량은 1.5배로 늘렸습니다. 아래에 설명한 텍스처 압축 개선과 더해져, 트윈모션 클라우드에 복잡한 프레젠테이션을 업로드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가 이러한 제한을 초과하는 드문 경우에 대비해 업로드 전 클라우드 호환성 검사 경고를 개선하여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RAM 및 VRAM 용량에 대한 정보를 더 자세히 표시하도록 했습니다.

프레젠테이션에 모션 센서 지원

호환되는 모바일 또는 태블릿 디바이스에서 AR과 유사한 모드로 프레젠테이션을 둘러볼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프레젠테이션 보기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VRAM 사용량 경고

이제 씬에서 사용하는 GPU 메모리 사용량에 관한 정보가 60%, 70%, 80%, 90%와 같은 단계별 알림과 함께 논블로킹 경고로 알 수 있게 되고, 이 정보들은 통계(Statistics) 패널에 표시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GPU RAM 진단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이미지 및 파노라마 익스포트 포맷

이제 이미지 및 파노라마를 PNG와 더불어 JPEG 또는 EXR 포맷으로도 익스포트할 수 있습니다.

제한 사항:

  • EXR 출력 시 컬러 그레이디언트가 고려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미지 및 파노라마 익스포트 세팅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새로운 단위

환경설정(Preference) 패널 세팅에 새로운 단위 옵션 두 개를 추가했습니다. 이제 센티미터부터 피트까지 모든 크기 정보를 씬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트윈모션 환경설정 문서의 세팅에서 단위 시스템 을 참조하세요.

포즈 휴먼의 새로운 카테고리

향후 몇 달 동안 더 많은 에셋을 추가하고자 하는 목표의 일환으로 포즈 휴먼(Posed Human)을 여러 카테고리로 나누었습니다.

여러 파일 임포트

이제 트윈모션에서 여러 파일을 동시에 임포트할 수 있습니다. .udatasmith 파일, .udatasmith 가 아닌 파일 및 모든 타입의 파일을 한 번에 임포트할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파일: .udatasmith, .gltf, .glb, .fbx, .skp, .obj, .c4d, .3ds, .dae, .dxf, .iv, .lw, .lwb, .lwm, .lwo, .lws, .lxo, .ply, .stl, .wrl, .wrl97, .vrml, .x.

트윈모션 내 glTF 및 glB 지원

데이터스미스 임포트 프로세스와 비슷하게, 임포트 목록에서 새 파일 포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lTF 파일(또는 바이너리 버전인 glB)을 트윈모션으로 임포트할 수 있습니다.

제한 사항:

  • 애니메이팅한 오브젝트와 스켈레탈 애니메이션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 Frosted Glass, Sheen 등 복합적인 셰이더를 가진 특정 머티리얼은 기본적으로 트윈모션의 일반 머티리얼로 변환됩니다.

지원되는 파일 포맷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트윈모션으로 콘텐츠 가져오기 문서를 참조하세요.

데이터스미스 임포트에 UV 정밀도 옵션 사용 가능

이제 데이터스미스 파일 임포트 시 UV 정밀도를 올릴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논데이터스미스 임포트처럼 임포트 패널에서 체크 박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괴되지 않고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아주 작은 지오메트리에 있는 UV 문제를 해결하므로, 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스미스 다이렉트 링크 워크플로데이터스미스 파일 임포트 워크플로임포트 옵션(Import Options) 을 참조하세요.

모션 블러 토글

비디오 출력을 위한 모션 블러 토글 기능을 추가했습니다(모션 블러는 기본적으로 켜져 있습니다). 이 옵션은 비디오 익스포트 도크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비디오 익스포트 세팅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근거리 클리핑 면

이제 근거리 클리핑 값을 카메라 세팅에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씬에서 작은 오브젝트를 가지고 작업할 때 클리핑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각 이미지, 파노라마, 비디오마다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더 범위는 0.001~1미터이며, 0.001미터와 100미터 사이의 값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미디어 비주얼 세팅 문서의 카메라 세팅을 참조하세요.

확장된 필드 오브 뷰

필드 오브 뷰의 최소 각도를 이전보다 많이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미디어 비주얼 세팅 문서의 카메라 세팅을 참조하세요.

미디어 탭의 초점 길이 세팅

카메라 세팅 아래 미디어(Media) 탭의 FOV 세팅을 초점 길이가 대체합니다. 필드 오브 뷰 각도에서 초점 길이 밀리미터로의 전환은 풀 프레임 센서의 치수를 따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미디어 비주얼 세팅 문서의 카메라 세팅을 참조하세요.

새 내비게이션 속도

뷰포트에 새로운 내비게이션 속도 두 개를 추가했습니다. 핸들 속도(Handle Speed)와 인스펙트 속도(Inspect Speed)는 보행 속도(Walk Speed)보다 느리며, 작은 오브젝트 주변에서 더 쉽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탐색 속도 제어하기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새 내비게이션 프리셋

트윈모션의 기본 내비게이션은 왼쪽 마우스 버튼에 궤도 액션이 추가되면서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패널 UI가 새로운 트윈모션 기본 내비게이션을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또한 궤도 회전, 패닝, 줌에 대한 다른 3D 소프트웨어의 내비게이션 스타일에 맞게 새롭고 더 정확한 단축키를 만들었습니다. 바퀴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여 내비게이션 패널 UI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프리셋은 트윈모션의 기본 내비게이션을 비활성화하지 않습니다. 프리셋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른 3D 소프트웨어와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내비게이션의 추가 레이어처럼 작동합니다. UI는 프리셋이 트윈모션의 기본 내비게이션과 충돌하는 경우에만 업데이트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탐색 패널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새 단축키

이제 키보드에서 Z (qwerty) 또는 W (azerty)로 빠르게 로컬 축과 월드 축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궤도 회전 중 키보드에서 C 를 누르면 선택한 오브젝트의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오브젝트의 피벗을 중심으로 궤도 회전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탐색 키보드 및 마우스 단축키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트랜스폼 패널 향상

트랜스폼(Transform) 패널에서 Tab, Shift + Tab, 위아래 방향키로 좌표 필드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회전 필드에서는 이제 가장 가까운 백의 자리로 반올림합니다. 쿼터니언과 오일러 각도의 변환이 개선되었으며, 이제 수동으로 좌표를 입력해도 다른 필드의 값을 변경하지 않습니다.

트랜스폼 패널 필드를 좌클릭하면 자동으로 텍스트 전체를 선택하게 됩니다.

텍스트 전체를 선택한 뒤 하나의 필드에서 다른 필드로 반올림 없이 정확한 값을 복사 및 붙여넣기할 수 있습니다.

16K 해상도 파노라마 출력

이제 파노라마는 16K 해상도로 익스포트할 수 있으며, 파노라마 세트는 16K 해상도로 트윈모션 클라우드에 익스포트할 수 있습니다.

파노라마 및 파노라마 세트의 지원 해상도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지 및 파노라마 익스포트 세팅파노라마 세트 익스포트 세팅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메시 크기

트랜스폼(Transform) 패널에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었습니다. 이제 X/Y/Z 축에서 선택한 오브젝트의 크기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씬그래프 향상

씬그래프에서 선택한 뒤 우클릭하면 새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생성:

  • 새 컨테이너(New container)서브컨테이너 생성(Create sub container) 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새 컨테이너로 이동(Move to new container) 은 선택한 오브젝트를 새 컨테이너에 배치합니다. 이 컨테이너는 씬그래프에서 마지막으로 클릭된 곳에 생성됩니다.

인스턴스 선택:

  • 씬에 인스턴스가 있으면 이제 씬그래프에서 인스턴스를 우클릭한 다음, 전체 인스턴스 선택(Select all instances) 을 눌러 해당하는 모든 인스턴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캐시로 텍스처 관리(다이렉트 링크)

텍스처가 손실되거나 캐시에서 텍스처가 초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제 다이렉트 링크 기능을 사용할 때 캐시된 텍스처에 대한 저장 경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개별 다이렉트 링크 아이템마다 디자인 애플리케이션별로 서브폴더가 자동으로 생성되며 정리됩니다. 이 기능은 macOS와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활성화됩니다. 다이렉트 링크 환경설정에서 경로는 수정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제한 사항:

  • 캐시된 텍스처에 대해 생성된 폴더는 드라이브에서 수동으로 삭제될 때까지만 보존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스미스 다이렉트 링크 워크플로 문서의 DirectLinkTextures 폴더를 참조하세요.

씬그래프 및 뷰포트 내에서 라이트 유형 식별

이제 씬그래프에서 라이트 유형을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씬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설정(Preferences) > 외관(Appearance)에서 비주얼 도우미(Visual Helpers)를 활성화하면 각 라이트 유형은 뷰포트에서 고유한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라이브러리의 이동경로

라이브러리에 이동경로(Breadcrumb)를 이용한 탐색이 통합되었습니다. 디렉터리의 전체 경로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클릭 한 번으로 이전 레벨로 돌아갈 수 있어 더 효율적인 탐색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브러리 개요 문서를 참조하세요.

기즈모 색상

뷰포트 내에서 X, Y, Z 축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표준 RGB 색상이 기즈모에 추가되었습니다.

텍스처 압축

트윈모션에 내장된 텍스처 압축 알고리즘이 이제 텍스처에 적용되어 메모리 사양을 낮춥니다. 비주얼 퀄리티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약 75%의 텍스처 메모리 절약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에셋이 포함된 씬에서 파일 크기가 줄어들며 저장/로드 퍼포먼스가 향상됩니다.

Windows 11 지원

기능 검증 및 퍼포먼스 테스트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공식적으로 Windows 11을 지원합니다.

macOS Monterey 지원

기능 검증 및 퍼포먼스 테스트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공식적으로 Monterey를 지원합니다.

트윈모션을 M1 칩셋 디바이스에서 실행할 수 있지만, 현재 M1 칩셋을 완전히 지원하고 있지 않은 점을 유의해 주세요.

2022.2에서 수정된 버그

클라우드 - 라이브러리 - 메가스캔 - 스케치팹

TM-8229 - 특정 카테고리에서 에셋을 다운로드하면 크래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TM-7489 - 퀵셀 식생 오파시티가 알맞지 않습니다.

TM-6953 - Sandstone Cliff와 Rock Sandstone 퀵셀 에셋에 텍스처가 없습니다.

콘텐츠

TM-7053 - Colorado Spruce와 Koyama Spruce의 LOD 세팅을 수정했습니다.

TM-6806 - 중장비의 로고를 새로고침하면 크래시가 임의로 발생합니다.

TM-6766 - 가구/도시/광고 카테고리에서 데칼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TM-6759 - 텍스처 오파시티가 깨집니다.

TM-7756 - Pure Hood 에셋의 피벗 포인트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TM-7262 - Sanitary05, Sanitary06, Sanitary07의 회전 및 피벗 위치가 틀렸습니다.

TM-6926 - 패브릭 머티리얼에 날씨 변화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TM-8312 - 뷰포트에 시계를 처음으로 배치할 때 방향이 잘못 설정되어 있습니다.

TM-6516 - 일부 라이브러리 에셋은 씬그래프에 정상적인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TM-8779 - HDRI 콘텐츠를 Shift+Click해도 전체 항목이 선택되지 않습니다.

TM-8758 - 라이브러리에서 HDRI 폴더를 탐색할 때 퍼포먼스 문제가 발생합니다.

코어

TM-6401 - 선택 취소 스택이 뷰포트 선택과 맞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TM-6954 - 씬 편집 이후 애플리케이션 창을 닫을 때 데모 씬이 덮어씌워집니다.

TM-6883 - 선택된 기즈모를 언박싱하면 크래시가 임의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TM-6898 - 파일을 다시 열어볼 때 미디어에 적용된 스카이돔이 '비어있음'으로 표시됩니다.

TM-6410 - 트랜스폼 패널에서는 트랜스폼 편집을 되돌릴 수 없습니다.

TM-7147 - macOS에서 외부 모니터를 사용하다가 연결을 해제하면 트윈모션을 시작했을 때 크래시가 발생했습니다.

TM-5411 - macOS에서 영상 텍스처가 포함된 트윈모션을 대기 상태로 실행하면 크래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TM-8240 - 씬을 저장하고 다시 로드했을 때 씬그래프에서 식생을 숨기거나 숨김해제 시 식재 크기가 정상적으로 보존되지 않습니다.

상호운용성

TM-8141 - 특정 FBX 모델이 포함된 클라이언트 씬을 열 때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TM-7847 - 트윈모션에서 언리얼 엔진으로 임포트할 때 3D 캐릭터 머티리얼이 임포트 및 할당되지 않습니다.

TM-8230 - 임포트를 시작할 때 크래시가 임의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TM-8386 - 이미터 작명 규칙이 '이름이 없는' 소스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TM-8401 - 라이트 프로퍼티를 리셋하면 모드별 병합의 트랜스폼도 리셋됩니다.

TM-6005 - 데이터스미스 다이렉트 링크 임포트 UV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TM-6679 - 계층구조 유지 모드에서 재동기화하면 SketchUp 파일에서 UV가 사라집니다.

TM-7759 - 데이터스미스 임포터가 데이터스미스 액터에 정의된 가시성 플래그를 무시합니다.

TM-8538 - 데이터스미스 리임포트 시 회전이 업데이트되지 않습니다.

현지화

TM-4666 - Windows 독일 언어 패키지에서 속도 키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렌더링

TM-7002 - 파라미터가 높고 뷰포트에서도 패스 트레이서가 활성화된 경우 패스 트레이서를 통한 이미지 익스포트가 멈춥니다.

TM-6033 - 스테레오 360 파노라마 및 이미지를 익스포트하면 3D 모드를 사용하는 식생 또는 오브젝트가 흐릿해집니다.

TM-6463 - 밤 시간에 뷰포트와 패스 트레이서 사이의 라이트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가 해결됐습니다.

TM-6330 - macOS 시스템에서 비디오를 출력하면 글리치가 임의로 발생합니다.

TM-6342 - 환경설정에서 HDRI 퀄리티를 변경해도 스카이돔 퀄리티가 바뀌지 않습니다.

TM-6595 - 패스 트레이서를 사용하여 4K 스틸 이미지를 익스포트할 때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TM-7184 - 패스 트레이서 익스포트 시 오버드로를 비활성화하여 예상치 못한 크래시를 예방합니다.

TM-7173 - 패스 트레이서에서 라이트를 삭제한 뒤에도 옅은 연무가 보입니다.

TM-7322 - macOS의 비디오 텍스처에 흰색 플래시가 발생합니다.

TM-7038 - 범프맵이 사용되는 경우 패스 트레이서로 렌더링한 이미지에 아티팩트가 생깁니다.

저장/로드

TM-6910 - 파일(File) > 열기(Open)를 통해 파일을 열면 파일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여 파일을 여는 것보다 VRAM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TM-7060 - 파일을 열 때 메모리가 부족합니다.

TM-7145 - 동일한 스카이돔을 다른 미디어 이미지에 사용하면 파일 크기가 커집니다.

TM-4944 -지오메트리를 리임포트한 뒤 페인팅된 식생이 올바르게 복원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TM-6239 - 메가스캔과 클라우드 에셋에 오브젝트 대체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TM-6824 - 성장 애니메이션을 사용할 때 Hidden Daisies가 가시성 상태를 무시합니다.

TM-7614 - IES 프로파일이 올바르게 임포트되지 않습니다.

TM-5117 -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항상 오브젝트 자체가 아닌 그 컨테이너가 선택됩니다.

TM-7747 - 씬 스테이트를 사용한 후 트윈모션을 종료할 때 크래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TM-7835 - 씬그래프의 ‘새 컨테이너로 이동' 옵션이 생성된 컨테이너에 포커스를 설정하지 않습니다.

TM-6920 - 3D 모드로 익스포트한 이미지의 정렬이 맞지 않습니다.

TM-4837 - 이전 버전에서 가져온 문에 알맞지 않은 손잡이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툴 - 랜드스케이프

TM-6744 - 이미 인스턴스화된 나무를 시프트-복사/인스턴스(Shift-Copy/Instance)하려고 시도할 때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툴 - 라이브러리

TM-6402 - 일부 데칼 텍스처가 ‘더보기' 아래에서 작동하지 않는 파라미터를 노출합니다.

TM-6892 - 선택 큐브가 포즈 휴먼에 작동하지 않습니다.

TM-7544 - 유저 라이브러리의 새 폴더를 우클릭하면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툴 - 머티리얼

TM-6035 - 단일 면 엘리먼트가 있는 지오메트리 텍스처가 없으며 해당 면에 물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툴 - 뷰포트

TM-5424 - 스내핑 영역을 Shift+드래그하여 오브젝트를 복제할 때 기즈모 오프셋이 발생합니다.

트윈모션 클라우드

TM-6873 - macOS에서 허위 호환성 확인 경고가 표시됩니다.

TM-8150 - 클라우드로 씬을 푸시하거나 클라우드 라이브러리 에셋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EULA 상태를 가져올 때 오류가 발생합니다.

TM-5666 - macOS에서 영상 텍스처가 있는 일부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업로드하면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UI

TM-6545 - 여러 현지화된 언어에서 라이트의 십의 자리 값이 반내림됩니다.

TM-6765 - 트랜스폼 패널이 올바른 단위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VR

TM-4197 - VR Tracking Lenovo Explorer MR Headset을 사용할 때 디스플레이에 스터터링이 발생하는 문제가 해결됐습니다.

TM-5659 - VR 컨트롤에서 주 사용 손이 올바르게 유지되지 않습니다.

TM-6263 - 뎁스 오브 필드를 조정할 때 VR 컨트롤러와 메뉴가 흐릿해집니다.

2022.2 알려진 문제

콘텐츠

TM-8108 - 파티클을 ‘끈' 상태에도 페인트한 잔디에 눈이 표시됩니다.

TM-7298 - 오브젝트의 기존 머티리얼에 이중면을 적용한 후 물 머티리얼을 적용하면 깨집니다.

코어

TM-7838 - 맵 폴더가 임포트한 오브젝트와 동일한 경로에 있지 않을 경우 임포트한 오브젝트를 다시 로드할 때 텍스처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TM-8104 - 상위호환성을 지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트윈모션 이전 버전에서 2022.2 파일을 열 수 있습니다.

TM-8697 - .TM 파일의 모든 내용을 삭제한 후에도 데이터가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 라이브러리 - 메가스캔 - 스케치팹

TM-7233 - 퀵셀 Bracken Fern에 오파시티 맵이 없습니다.

TM-7231 - 3D 식물 Myricaria 02의 텍스처가 없습니다.

TM-7550 - 퀵셀 Granite Rock이 파싱에 실패합니다.

TM-7765 - 여러 메시가 포함된 퀵셀 아이템이 분해되어 있습니다.

TM-7313 - macOS에서 사용자 ID가 런처에서 트윈모션 에디터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TM-8439 - 파일을 2022.1에서 2022.2 버전으로 변환하면 퀵셀 메가스캔 에셋의 텍스처가 소실됩니다.

TM-8440 - 파일을 2022.1에서 2022.2 버전으로 변환하면 퀵셀 메가스캔 에셋의 메시가 왜곡됩니다.

TM-8531 - 일부 스케치팹 에셋이 첫 드래그 앤 드롭 이후 제대로 초기화되지 않아 단순한 사각형 큐브로 바뀝니다.

TM-8505 - 결과가 없는 라이브러리 검색을 지울 때 다운로드한 클라우드 에셋의 썸네일이 회색 처리됩니다.

상호운용성

TM-7593 - Rhino Material Gloss는 정확한 퍼센티지로 임포트되지 않습니다.

TM-8290 - 다이렉트 링크 또는 자동 동기화를 다시 활성화하면 머티리얼이 흰색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퀄리티 세팅을 변경하면 해당 텍스처가 정상적으로 다시 생성될 것입니다. 또는 영향을 받은 텍스처를 다시 편집하기 시작하면, 편집한 텍스처만 다시 생성됩니다.

TM-8285 - 리임포트 후에 오브젝트 트랜스폼 및 스케일이 초기화됩니다.

TM-8210 - 큐빅 UV 옵션이 켜진 상태에서 리임포트하면 오브젝트 UV가 깨집니다.

TM-8686 - SketchUp 다이렉트 링크에서 스태틱 메시가 임포트되지 않습니다.

임포트

TM-7051 - 포인트 클라우드를 다시 로드하거나, 트윈모션 프로젝트를 다시 열면 피벗 모드 위치를 보존하지 않습니다.

TM-7056 - ‘기존 피벗 유지'를 사용할 때 포인트 클라우드 오브젝트가 제대로 정렬되지 않습니다.

TM-7043 - 포인트 클라우드에서 기존 피벗 유지를 사용할 때 콜리전 메시가 오브젝트를 따라가지 않습니다.

렌더링 - 익스포트

TM-7017 - 클레이 렌더 시 양면 오브젝트가 정상적으로 렌더되지 않습니다.

TM-8544 - 프레젠터를 로컬 및 클라우드로 익스포트할 때 세이프 프레임이 페이징 상태를 리셋합니다.

TM-8607 - 뷰포트와 익스포트된 mp4에서 미디어 속도가 임의로 변경됩니다.

TM-8649 - 비디오 텍스처가 있는 비디오가 제대로 익스포트되지 않습니다.

TM-8670 - 렌더링 스타일을 사용할 때 나뭇잎에 투명도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TM-7668 - 단축키 'G'가 정상적으로 매핑되지 않습니다.

TM-7825 - 리임포트 시 오브젝트의 기즈모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다른 오브젝트를 선택합니다.

TM-7870 - 기즈모의 중앙에서 Shift+이동하면 특정 간격에서 오브젝트가 복제되지 않습니다.

TM-7876 - 프로젝션 모드를 켠 머티리얼을 FBX에 드래그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인스턴트화되지 않아도 모든 오브젝트 프로젝션이 편집됩니다.

TM-7904 - 씬 변환 후에 비디오 세그먼트 삭제를 실행취소하면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TM-8657 - 다수의 오브젝트 또는 복잡한 오브젝트에 중력이 적용되면 트윈모션이 멈출 수 있습니다.

TM-8792 - 여러 오브젝트에 적용된 피직스를 실행취소한 후에 애플리케이션을 닫으면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툴 - 라이브러리

TM-7074 - 애니메이터 피벗 편집 툴이 활성 상태일 때 다른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없어야 합니다.

TM-7590 - 컨스트레인트가 꺼짐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측정 툴 길이를 조절할 수 없습니다.

해결 방법: 씬그래프에서 다른 아이템을 선택하거나 도크의 다른 메뉴를 클릭한 다음에 측정 툴로 돌아갑니다.

TM-8702 - 라이브러리의 즐겨찾기 필터가 세션 간에 제대로 로딩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툴 - 미디어

TM-7808 - 머티리얼 피커 툴이 선택되어 있으면 미디어 이름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UI

TM-7809 - '세팅'에서 비디오의 이동경로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TM-7971 - 씬그래프에서 긴 이름이 줄여지지 않습니다.

TM-8692 - HDRI가 씬에 드롭되었을 때 HDRI 이동경로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VR

TM-6696 - 트윈모션이 VR 모드에서 나올 때 종료됩니다(WinMR에만 해당).

TM-6738 - 트윈모션이 Oculus Quest 2를 통해 VR 모드로 전환할 때 크래시합니다.

트윈모션 문서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주세요!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문서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주세요.
설문조사에 참여해 주세요
건너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