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윈모션 2023.1 출시 노트 | 트윈모션 문서

트윈모션 2023.1 출시 노트

트윈모션 2023.1의 출시 노트입니다.

Windows
MacOS
Linux

트윈모션 2023.1 이 출시되었습니다.

기존 사용자라면 컴퓨터에 설치된 에픽게임즈 런처 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습니다.

신규 사용자는 여기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트윈모션 지원 커뮤니티에서 이번 출시 버전에 대한 토론의 장을 열어 의견을 나눌 수 있습니다. 이번 출시 버전에 관련된 버그를 신고하려면 고객 지원에 문의해 주세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양

이번 트윈모션 신규 버전에서는 언리얼 엔진 5.1을 지원합니다. 덕분에 향후 기능을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고 트윈모션과 패스 트레이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요구사항이 변경되었습니다.

트윈모션 2023.1을 설치하기 전에 시스템 요구사항을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운영체제

Windows
  • Windows 11 64비트 버전.

  • Windows 10 64비트 버전 1909 버전 리비전 .1350 이상 또는 버전 2004 및 20H2 리비전 .789 이상.

사용 중인 Windows 운영체제 버전을 확인하려면 이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MacOS
  • MacOS Monterey 12.x.

참고: MacOS Ventura 13.x는 공식적으로 지원되지 않습니다.

그래픽 카드

최소 6GB의 전용 메모리가 필요하며, 패스 트레이서를 사용하려면 최소 8GB가 필요합니다.

RHI 버전:

  • DirectX 11: 최신 드라이버

  • DirectX 12: 최신 드라이버

  • Vulkan: AMD(21.11.3+) 및 NVIDIA(496.76+)

참고: Intel ARC 그래픽 카드는 공식적으로 지원되지 않습니다.

패스 트레이서 요구사항

  • DirextX 12와 호환되며 전용 VRAM이 최소 8 GB 이상인 그래픽 카드

  • NVIDIA 그래픽 카드: RTX 2000 시리즈 이상

  • AMD 그래픽 카드: RX 6000 시리즈 이상

  • 패스 트레이서 기능은 macOS에서 지원되지 않습니다.

트윈모션 2023.1의 권장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3.1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양을 참조하세요.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 플러그인

트윈모션 2023.1용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 플러그인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최신 호환 플러그인은 트윈모션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롭게 지원하는 디자인 애플리케이션 버전:

  • Archicad 26 macOS ARM 기반

  • SketchUp 2022 macOS ARM 기반

새 소식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UI)

유연성과 작업 속도 향상을 위해 유저 인터페이스를 개편했습니다.

  • 도크의 더보기(More) 버튼이 속성(Properties) 패널로 대체되어 모든 세팅을 보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속성 패널에는 모든 트윈모션 세팅이 그룹화되어 있습니다. 패널은 세 가지 레벨로 정리되어 있어 빠르게 액세스하고 주요 세팅으로 쉽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 레벨 1: 주요 세팅으로, 씬을 빠르게 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컨트롤입니다.

    • 레벨 2: 씬에 대한 추가 세팅이 있는 부가적인 컨트롤입니다.

    • 레벨 3: 정확하고 기술적인 미세조정을 위한 세팅입니다.

  • 뷰포트 위의 헤더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에 바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패널에는 새로운 씬을 빠르게 시작할 수 있는 건축 및 제품 시각화 템플릿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툴바 에는 렌더링, UV, 트랜스폼, 중력, 축 도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내 계정(My Account) 에서는 에픽 계정에 로그인 및 로그아웃하고 트윈모션 클라우드를 열 수 있습니다.

  • 뷰포트 아래 푸터의 바로가기를 통해 도크와 패널을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트랜스폼(Transform) 패널은 XYZ, 씬 상태(Scene states)뷰 세트(View sets) 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 새로운 트윈모션 인터페이스에서는 패널과 도크를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속성 패널을 씬(Scene) 패널 옆에 도킹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인터페이스 스케일(Interface scale) 옵션이 환경설정(Preferences) 패널에 추가되어, 인터페이스 해상도를 75~200%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 툴팁에서 F1 단축키를 누르면 여러 가지 워크플로를 보여주는 비디오가 열립니다.

  • 라이브러리(Library) 패널과 씬그래프(Scene graph) 는 변경되지 않았으나 일부 시각적 요소가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스타일에 맞추어 변경되었습니다.

홈 패널 및 템플릿

트윈모션을 시작하면 표시되는 홈(Home) 패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새 씬 생성

  • 파일 탐색 및 열기

  • 트윈모션 버전 업데이트

  • 건축 또는 제품 디자인 템플릿 탐색 또는 열기

패널의 템플릿은 다양한 산업의 크리에이터에게 편리한 고급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템플릿은 사용자가 프로젝트의 전문가급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을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템플릿 라이브러리는 계속 확장될 예정입니다.

환경설정 패널에서는 패널의 템플릿을 다운로드 및 저장하기 위한 커스텀 패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신규 유리 베이스 머티리얼

유리 (반투명) 베이스 머티리얼이 완전히 정비되었습니다.

이 머티리얼은 이제 두 셰이딩 모델을 하나로 제공합니다. 모든 유리 머티리얼을 표준(Standard) (반투명 셰이딩 모델)과 유색(Colored) (얇은 반투명 셰이딩 모델)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습니다.

표준 유리는 레거시 유리 머티리얼과 유사하며 건축 시각화 사례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유색 유리는 유리의 컬러 투과율이 더 뛰어나며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에서 컬러 섀도를 드리울 수 있게 해줍니다.

유리 머티리얼은 이제 PBR 러프니스/메탈릭 워크플로와 함께 표시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반사도 파라미터는 러프니스 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PBR 셰이더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대부분을 따르는 동작 반전 기능이 있습니다.

  • 이제 다음과 같은 텍스처 맵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베이스 컬러, 러프니스, 메탈릭, 노멀 .

  • 이전에 도입된 리프랙션 인덱스 파라미터가 러프니스, 리플렉션, 리프랙션을 보다 잘 제어하여 샌드블라스트(sandblasted) 유리 및 프로스테드(frosted) 유리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 러프니스, 메탈릭, 노멀, 마스크 텍스처에 대한 반전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리데센스(Iridescence)임퍼펙션(Imperfections) 등의 특정 신기능이 추가되어 다색(Polychromatic) 유리와 같이 제품 디자인 업계를 위한 특정 타입의 유리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Clear glass 세(3) 개, Blackout glass 여덟(8) 개, Polychromatic glass 열(10) 개가 유리 머티리얼 라이브러리에 추가되었습니다. 모든 유리 머티리얼은 이제 동일한 기능과 파라미터를 공유합니다.

제한 사항:

  • 특정 리프랙션 인덱스 이펙트의 관리 기능이 향상되었으므로, 프로스테드 유리와 같은 리프랙션 및 블러 이펙트가 리얼타임 렌더링에서 더 이상 표시되지 않습니다.

  • 모든 유리 머티리얼에서 이제 동일한 기능을 지원하므로 Glass brick의 컬러를 더 이상 커스터마이징할 수 없습니다. 레거시 Glass brick의 경우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이러한 컬러를 커스터마이징한 사용자는 해당 컬러를 쓸 수 없습니다.

  • 신규 유리 머티리얼은 대체 테이블(WIP)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유리 머티리얼로 표면에 드리워진 섀도의 해상도는 퀄리티가 낮을 수 있습니다. 매우 투명한 유리 머티리얼이 있으며 메탈릭 수준이 높은 표면에서는 눈에 덜 띕니다.

  • 리얼타임 모드( 패스 트레이서 모드와 반대)에서 작업할 때 표면에 유리 머티리얼이 있으며 겹쳐진 지오메트리는 디스플레이 우선순위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유리 머티리얼을 사용하는 복잡한 지오메트리에서 투영된 섀도에 아티팩트가 나타납니다.

제품 디자인 업계를 위한 신규 머티리얼 추가

4K 해상도 텍스처를 사용한 제품 시각화용 신규 머티리얼이 추가되었습니다.

신규 머티리얼은 패브릭(Fabric), 가죽(Leather), 플라스틱(Plastic), 메탈(Metal) 카테고리에 추가되었으며 기존 건축 머티리얼과 병합됩니다.

머티리얼은 클라우드 라이브러리에 호스팅되며, 클라우드 라이브러리 에셋의 다운로드 및 생성과 동일한 프로세스를 따릅니다. 'prodviz'라는 이름의 검색 태그가 추가되어 해당 머티리얼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페인트 머티리얼 라이브러리

자동차 업계 전용의 새 머티리얼 타입을 만들어 트윈모션 머티리얼 라이브러리에 추가했습니다.

추가된 34개의 자동차 페인트 머티리얼에는 자동차 본체의 모든 페인트 이펙트를 처리하는 전용 파라미터와 기능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카멜레온(Chameleon) 페인트, 진주 광택(Pearlescent) 페인트, 가루(Flakes), 오렌지 껍질(Orange peel), 바인더 오파시티(Binder Opacity) 레이어가 있습니다.

제한 사항:

  • 자동차 페인트 머티리얼은 트윈모션 라이브러리의 기존 트윈모션 자동차에 적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추후 지원될 예정입니다.

  • 자동차 페인트 머티리얼은 머티리얼 대체 테이블(WIP)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오파시티 맵

베이스 컬러 텍스처에 내장된 알파 텍스처 또는 대부분의 머티리얼 타입에 있는 별도의 텍스처 마스크 중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한 사항:

오파시티 맵 파라미터는 머티리얼 대체 테이블(WIP)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색 보정

이제 트윈모션에서 머티리얼의 베이스 컬러 텍스처 맵에서 기본 색 보정( 감마, 리프트, 게인, 채도 )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머티리얼의 메탈니스 수준

메탈니스(Metalness)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모든 머티리얼의 메탈니스 수준을 퍼센티지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0(비메탈)과 1(메탈)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전 버전에서는 메탈니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만 있었습니다.

사이클로라마

스튜디오 환경을 빠르게 구성할 수 있도록, 9가지 타입의 절차적 사이클로라마가 트윈모션 라이브러리의 도구(Tools) > 사이클로라마(Cycloramas) 에 추가되었습니다. 각 사이클로라마의 너비, 깊이, 높이, 반경을 도크에 있는 세팅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지원되지 않는 항목:

  •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트

LED 월

새로운 기능인 LED 월은 라이브러리의 도구(Tools) > 가상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LED 월은 엔터테인먼트 업계(프로그램/영화/텔레비전)에서 퍼포먼스나 촬영 전에 무대를 미리 보기 위한 배경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LED 월은 트윈모션의 렌더링 모드인 리얼타임패스 트레이서 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씬을 밝히기 위한 이미시브 프로퍼티가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환경설정(Configuration): 이 모드에서는 스크린의 길이와 너비, 스크린 크기, LED 월의 커버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텍스처/비디오(Texture/Video): 이 모드에서는 LED 월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투영하고 이들의 오프셋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크로마 키(Chroma key): 이 모드에서는 LED 월에 컬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지원되지 않는 항목:

  •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트

언리얼 엔진 5.1 지원

트윈모션에서 이제 언리얼 엔진 5.1이 지원되어 뷰포트 디스플레이가 이전 버전보다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제한 사항:

트윈모션은 루멘이나 나나이트 같은 특정 언리얼 엔진 5.1 기능을 아직 제공하지 않습니다.

신규 파일 포맷

새로운 TM 파일 포맷은 파일 크기, 씬 저장 및 로드 속도, 글로벌 퍼포먼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신규 파일 포맷에는 다음과 같은 수정 사항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 메시 및 텍스처 복제 방지: 트윈모션에서는 이제 한 프로젝트 내의 동일한 메시와 텍스처를 식별할 수 있어 저장된 파일에서 이러한 항목이 복제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결과:

    • 속도: 수정된 메시나 텍스처에 대한 변경사항만 저장합니다. 그 어느 때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기존 씬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 동일 에셋의 여러 사본이 포함된 파일의 경우 파일 크기가 크게 줄어듭니다(예: 퀵셀 또는 스케치팹 라이브러리 항목).

  • 멀티스레딩 향상: 신규 파일 포맷을 통해 씬은 멀티 코어 하드웨어에서 멀티스레드 압축으로 저장됩니다.

    결과: 저장 시퀀스가 이전 출시 버전에 비해 전반적으로 빨라졌습니다.

새로운 HDRI 파일 프로세싱

  • 내장 HDRI 파일: 모든 HDRI 파일(라이브러리 및 커스텀)이 이제 높은 압축률로 트윈모션 파일에 내장됩니다.

    결과: GPU 퍼포먼스 향상, VRAM 사용량 감소, 파일 크기 대폭 축소, 신속한 파일 열기라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 커스텀 HDRI: 트윈모션에서 로드되는 모든 커스텀 HDRI를 이제 'localHdris' 폴더에 있는 유저 라이브러리에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시일 내에 커스텀 HDRI의 섬네일이 유저 라이브러리에 추가 및 표시될 예정입니다. 원본 HDRI를 리로드할 필요가 없으며, 유저 라이브러리에서 뷰포트로 에셋을 드래그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지게 됩니다.

뷰포트 해상도 스케일링

이제 환경설정 패널의 새로운 뷰포트 해상도 스케일링(Viewport resolution scaling) 옵션에서 뷰포트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30%, 50%, 70% 중 하나를 선택하면 초당 프레임(FPS) 퍼포먼스가 향상되지만 뷰포트의 시각적 퀄리티가 떨어집니다.

  • 100%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모니터에서 지원하는 최대 퀄리티를 사용합니다.

  • 기본적으로 해상도는 퀄리티와 퍼포먼스 모두 최적화된 자동(Auto) 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신규 패스 트레이서 기능

패스 트레이서에서 이제 다음 기능을 지원합니다.

  • 데칼

  • 하이트 포그

  • 스카이 컬러, 라이트 스캐터링 등 애트머스페릭 렌더링이 향상되었습니다.

  • 템포럴 비디오 디노이징(프리뷰): 디노이저(Denoiser) 옵션은 패스 트레이서 세팅에서 활성화해야 합니다. 이 디노이저는 렌더링 아티팩트를 제거하지 않지만 완화할 수 있습니다.

  • 다중 GPU 지원: 다중 GPU를 사용하려면 Windows 10 버전 2004 이상이 필요합니다. 다중 GPU 라이팅 연산은 여러 개의 NVIDIA GPU를 연결하는 NVIDIA의 스케일러블 링크 인터페이스(Scalable Link Interface, SLI) 기술을 통해 지원됩니다. 다중 GPU(Multi GPU) 옵션은 환경설정 패널 아래의 패스 트레이서 에 있습니다.

  • 뎁스 오브 필드 범위 안에 있는 투명 오브젝트가 이제 물리적으로 올바르게 표현됩니다.

스케치팹 에셋 크레딧 익스포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규칙 준수를 위해 씬에 사용한 스케치팹 에셋에 저장된 라이선스 정보를 익스포트할 수 있습니다.

  • 라이선스 정보는 .csv 파일로 익스포트되며 구분 기호(" "으로 분리)를 사용하여 스프레드시트와 호환되도록 포맷이 지정됩니다.

  • 위치: 파일(File) > 크레딧 익스포트(Export credits)

기존 트윈모션 버전은 다운로드 날짜를 추적하지 않습니다. 기존 버전 트윈모션에서 생성한 파일에 크레딧 익스포트 기능을 사용하면 다운로드 날짜가 '알 수 없음'으로 표시됩니다.

컨테이너 레벨에서 스케일링

컨테이너를 선택하고 스케일(Scale) 툴을 사용하면 씬그래프의 컨테이너 콘텐츠를 한꺼번에 스케일링할 수 있습니다.

제한 사항:

  • 컨테이너의 비균등 스케일링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 다음 라이브러리 에셋은 컨테이너 내에서 스케일링하지 않습니다. 측정(Measure) 도구, 도어, 애니메이터, 애니메이터와 애니메이터의 모든 자손 오브젝트, 데칼, 랜드스케이프.

  • 패스, 그리고 씬에서 생성하여 페인팅 및 스캐터링한 식생은 스케일링하지 않습니다.

  • 라이브러리의 나무는 컨테이너 안에서 스케일링할 수 있지만 속성(Properties) 패널에서 나무의 수령(Age) 설정을 변경할 경우 디폴트 스케일로 리셋됩니다.

곡선 지오메트리에서의 고퀄리티 리플렉션

이제 에셋 임포트 시 고정밀 버텍스 노멀과 탄젠트 인코딩을 활성화하여 리플렉션 퀄리티를 향상할 수 있습니다. 임포트(Import) 창에서 최대 정밀도 노멀(Full precision normals) 체크박스를 선택하세요.

최대 정밀도 노멀을 활성화하면 임포트된 메시의 메모리 사용량이 약 15% 증가합니다.

IES 라이트

기존 빌드에서 나타났던 특정 회귀 현상을 수정했으며 IES 라이트 기능이 향상되었습니다. 이제 비대칭 IES 파일을 임포트하고 정확히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프리미티브의 UV 매핑

시각적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라이브러리에서 프리미티브의 UV 매핑을 향상했으며, 이제 모든 프리미티브에서 동일합니다.

이전 프리미티브의 베이스 UV 매핑을 변경한 경우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산업 설문

소속된 산업을 밝힐 수 있는 산업 설문을 추가했습니다.

트윈모션을 10분 동안 사용하면 설문 창이 나타납니다. 설문 제출 여부와 상관없이 설문은 다시 표시되지 않으며, 12개월 동안 새로운 산업 설문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

이제 트윈모션에 저장된 .udatasmith 파일로 언리얼 에디터에서 트윈모션 프로젝트 파일을 임포트할 수 있습니다. 이 신규 익스포트 기능 덕분에 트윈모션 프로젝트를 임포트하기 위해 언리얼 엔진 에디터에 데이터스미스 트윈모션 임포터 플러그인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주된 장점 중 하나는 언리얼 엔진에서 트윈모션 콘텐츠가 차지하는 공간이 수 기가바이트에서 약 500MB로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데이터스미스를 통한 익스포트는 기존의 트윈모션-언리얼 엔진 플러그인을 사용할 때와 기능 면에서 동일합니다.

이 향상된 신규 워크플로로 설치 및 시작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는 다음 문서를 참조해 주세요. 트윈모션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 기능 요약

현재 지원되지 않는 항목:

비디오 텍스처, 건설 장비, 보트, 스켈레탈 메시(애니메이팅된 오브젝트), 파티클, 패스(오토바이 및 캐릭터), 사운드, HDRI, 인바이런먼트 라이트, 로케이션 및 하루의 시간, 날씨 및 날씨 이펙트, 사이클로라마, LED 월, 리플렉션 프로브, 노트, 측정 도구, 섹션

기즈모의 자동 카메라 페이싱 방향 변경 비활성화

환경설정(Preferences) 패널의 세팅(Settings) > 기즈모(Gizmo) 에서 기즈모의 자동 방향 변경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각도 스냅(Angle snap) 옵션의 위치가 세팅(Settings) > 기즈모(Gizmo) 로 이동되었습니다.

2019 파일 지원 중단

트윈모션 2019 버전에서 생성한 파일은 2023.1 버전에서 열거나 변환할 수 없습니다. 이 버전의 파일을 열려면 2022.2.x와 같은 중간 버전에서 열어 저장한 다음, 2023.1 버전에서 열면 됩니다.

지원 중단된 2018 및 2019 파일 병합 비활성화

지원 중단된 2018 및 2019 버전에서 생성한 트윈모션 씬을 더 이상 2023.1 버전의 씬으로 병합할 수 없습니다. 2018 또는 2019 버전의 씬을 2023.1 버전의 씬으로 병합을 시도할 경우, 병합(Merge) 창의 확인(OK) 버튼이 비활성화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컨테이너 대체

씬그래프에서 이제 컨테이너의 콘텐츠를 다른 컨테이너의 콘텐츠로 대체하고, 초기 컨테이너의 좌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씬그래프에서 두 컨테이너를 선택하고 대체할 컨테이너를 우클릭한 다음 컨테이너 대체(Replace container) 를 선택합니다.

피벗 편집 회전

오브젝트의 로컬 축 방향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피벗 편집(Pivot edit) 툴이 향상되었습니다. 피벗 편집 툴을 선택하면 로컬/월드 축 토글(Toggle Local/World Axis) 툴을 사용하여 기즈모의 회전 핸들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제한 사항

피벗 편집 툴로 오브젝트의 로컬 축을 수정하는 경우, 이후에 XYZ 패널 사용 시 몇 가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OpenXR

OpenXR API를 통해 이제 모든 VR 헤드셋이 지원됩니다. 헤드셋 드라이버가 최신인지 확인하세요.

같은 시스템에서 다른 벤더의 헤드셋을 사용하는 경우 활성 OpenXR 런타임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세요.

Meta(구 Oculus)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SteamVR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ViveVR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Windows Mixed Reality

Microsoft Store에서 Windows Mixed Reality OpenXR 런타임을 다운로드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Varjo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Varjo VR 헤드셋 지원

OpenXR API 및 Varjo OpenXR 익스텐션을 통해 이제 다음과 같은 Varjo 헤드셋이 지원됩니다.

  • Varjo Aero

  • Varjo VR-3

  • Varjo XR-3

수정된 버그

클라우드 라이브러리 - 메가스캔 - 스케치팹

TM-8439 - 파일을 2022.1 버전에서 변환한 후 퀵셀 메가스캔 에셋에서 텍스처가 누락되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7087 - 퀵셀 메가스캔 데칼이 처음으로 생성되어 오브젝트에 적용되었을 때 수직면과 올바르게 정렬되지 않습니다.

TM-10762 - 클라우드 에셋을 씬으로 드래그하면 여러 개의 미사용 머티리얼이 생성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982 - 클라우드 캐릭터가 클레이 렌더러에서 캐릭터로 인식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698 - 클라우드 캐릭터에서 랜덤 회전 기능이 작동하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505 - 결과가 없는 라이브러리 검색을 지울 때 다운로드한 클라우드 에셋의 섬네일이 회색으로 표시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6471 - 퀵셀 메가스캔 데칼의 컬러 온도(Color temperature) 세팅을 변경할 때까지 글로(Glow) 세팅이 작동하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4592 - 유저 라이브러리에서 검색할 때 특정 에셋을 찾을 수 없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콘텐츠

TM-8368 - 머티리얼에서 회전이 사라지는 현상을 수정했습니다.

TM-8539 - 경사진 표면에서 DeadLeaves의 방향이 자동으로 조정되지 않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670 - 목재, 메탈 등 렌더링 스타일이 다른 나뭇잎에 투명도가 적용되지 않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746 - Rock 01에서 데칼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973 - 바람을 끄고 켤 때 Agave 식물에 바람 이펙트가 올바르게 적용됩니다.

TM-9018 - Cork Oak 및 Ashoka 나무에 구멍이 생기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9672 - 라이브러리에 있는 여닫이문의 나뭇결 방향이 이제 올바릅니다.

TM-9606 - Boxwood1 나무에 있는 시각적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100 - 특정 에셋의 텍스처가 픽셀화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989 - 운영체제가 MacOS Ventura 13.1인 Macbook Pro M1 Max에서 나무와 식물이 검은색으로 표시되던 2023.1 프리뷰 1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코어

TM-8057 - 씬 병합 시 텍스처가 상충하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058 - 재연결 수행 후 텍스처 경로가 이제 제대로 새로고침됩니다.

TM-8658 - 2022.2 프리뷰 1에서 생성한 파일을 열 때 크래시가 발생하는 현상을 수정했습니다.

TM-8827 - 현재 세션에서 저장한 씬이 파일(File) > 최근 항목(Open recent) 에만 표시되고 연 즉시 나타나지 않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160 - 눈과 거품을 모두 활성화하면 발생하던 Z-fighting 등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9129 - 지형을 포함한 컨테이너를 유저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면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 멈추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9509 - 캐릭터 에셋이 포함된 특정 파일을 열 때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9128 - 시작 시 트윈모션이 응답하지 않아 엔진을 초기화할 수 없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278 - 원격 데스크톱 환경에서 마우스 동작이 일관적이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560 - 32K 텍스처를 추가할 때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848 - 2022.2.3 파일을 2023.1로 변환하면 머티리얼 노멀이 깨지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725 - 오래된 드라이버가 탑재된 Intel HD GPU에서 DirectX 12를 사용하려고 시도할 때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650 - 2023.1 프리뷰 2에서 특정 2023.1 프리뷰 1 파일을 열 때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728 - 가상 머신에서 트윈모션을 사용할 때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776 - 2023.1 프리뷰 2에서 포즈를 취한 휴면이 포함된 특정 2023.1 프리뷰 1 파일을 열 때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상호운용성

TM-8680 - 전체 병합(Collapse all) 옵션으로 임포트된 데이터스미스 파일을 업데이트할 때 머티리얼이 누락되거나 잘못될 수 있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972 - DCC에서 값이 변경되었을 때 Archicad에서 가져온 라이트 각도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지 않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989 - 데이터스미스 파일을 리임포트한 후 오브젝트에 잘못된 머티리얼이 있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7101 - OpacityAndRefraction KeyValueProperty가 임포트된 데이터스미스 파일에 설정되지 않은 경우 반투명 머티리얼이 오파시티 100%로 임포트됩니다.

TM-11120 - PNG 파일을 랜드스케이프로 임포트할 때 재설정(Reset) 옵션이 스무딩(Smoothing) 옵션을 선택할 때만 작동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782 -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로 측정 도구를 익스포트하면 스태틱 메시가 익스포트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779 -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 사용 시 섹션 큐브(Section cube) 도구가 지오메트리로 익스포트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870 - 이제 포인트 클라우드 .e57 파일이 정상적으로 임포트됩니다.

TM-7731 - Vectorworks에서 임포트된 오브젝트에 적용된 머티리얼이 어둡고 반짝이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7065 - 데이터스미스 임포트 시 NormalMapAmount가 누락되어 노멀 맵 강도가 올바르지 않은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499 - 머티리얼 대체 테이블이 디폴트 위치에 있지 않을 때 파일(File) > 임포트 명령이 불가능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261 - 데이터스미스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RIKCAD와 트윈모션을 연결할 때 PNG 텍스처의 투명도가 검은색으로 보이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084 - 임포트 시 오파시티 맵 파라미터가 올바르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563 - 트윈모션이 이전에 실행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스미스 다이렉트 링크와 동기화 시 크래시와 연결 오류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791 - 트윈모션 2023.1 프리뷰 2에서 시작 시 포트 6666을 바인드하려고 시도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렌더링

TM-7318 - 식생이 포함된 패스 트레이서 이미지를 익스포트할 때 발생하는 퍼포먼스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6889 - 익스포트 시 노트 리더 라인이 누락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071 - 패스 트레이서 모드로 렌더링 시 백드롭 HDRI가 리플렉션 머티리얼에 두 번 나타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7017 - 클레이 렌더 시 양면 오브젝트가 정상적으로 렌더링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556 - 캐릭터 컷아웃이 클레이 렌더에서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712 - 다이내믹 해상도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뷰포트에서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이 계속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도구

TM-101 - 맵의 사각형 영역이 컨텍스트(Context) > 어반(Urban) 에서 크기 변경이 되지 않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5822 - 머티리얼 피커로 선택할 수 없는 오브젝트에 이제 머티리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TM-5931 - 트럭의 머티리얼을 선택할 수 있으나 변경할 수 없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5915 - 복제 후 도어 크기가 리셋되고 해당 머티리얼이 사라지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9896 - MacBook Pro의 터치 바를 통해 하루의 시간을 변경할 때 발생하는 충돌을 수정했습니다.

TM-9344 - 도어 선택 시 도어 트리거가 작동하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175 - 씬을 다시 열면 노트에서 삭제했던 설명이 다시 나타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926 - 노트의 바디를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없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856 - 이제 커스텀(Custom) 패스의 딜레이(Delay) 옵션이 첫 번째 패스에서 제대로 작동합니다.

TM-10857 - 씬을 다시 열면 특정 에셋의 식생 수령 세팅이 유지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791 - 포즈를 취한 휴먼이 포함된 로컬 및 클라우드 프레젠테이션에서 간혹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285 - 여러 타입의 아이템을 채울 때 일관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표시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061 - MacOS의 Location 검색창에서 위치를 선택할 수 없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914 - 이제 씬을 저장할 때 관목의 비균등 스케일링이 유지됩니다.

TM-8760 - 세 개 이상의 커스텀 패스를 만들 때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629 - 이제 전체 선택( Ctrl + A ) 단축키가 올바르게 작동합니다.

TM-8323 - 섹션 큐브의 두께 슬라이더 값에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7441 - 노트 텍스트를 처음 선택 시 옮길 수 없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7084 - 특정 에셋을 애니메이션용 오브젝트 링크로 선택할 수 없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6197 - 머티리얼 교체 기능이 미닫이문의 모든 인스턴스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TM-4987 - 식생 페인트 기능이 고도가 높은 지형에서 작동하지 않습니다.

TM-11510 - 컨테이너에서 씬그래프의 루트로 아이템을 드래그하려고 할 때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723 - 페인트된 식생이 있는 특정 씬을 열고 편집할 때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772 - 페인팅 및 스캐터링된 식생에서 계절 및 날씨 이펙트가 깨지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UI

TM-8105 - 독일어 키보드로 로컬/월드 축 토글(Toggle Local/World Axis) 단축키를 사용하면 보기 메뉴가 표시되고 사라지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9020 - 카메라 세팅의 FOV가 초점 거리(Focal length)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TM-11524 - 프레젠테이션의 미디어 아이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091 - 컬러 피커에서 프리뷰 시 컬러가 바래 보이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702 - 라이브러리에서 즐겨찾기 필터가 정상적으로 로딩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306 - 다른 에셋이 에셋 위로 옮겨졌음에도 에셋이 강조되지 않던 씬그래프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0910 - 뷰포트에 표시되는 비주얼 도우미가 너무 작은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9399 - 이제 머티리얼 교체 및 오브젝트 UV에 대한 툴팁이 표시됩니다.

TM-8974 - .gLTF 파일과 다른 타입의 파일이 포함된 다수의 파일을 임포트할 때 임포트 창의 옵션 텍스트에서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8390 - 트윈모션 단축키 PDF에서 이름이 일관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7808 - 머티리얼 피커가 선택되어 있으면 미디어 이름을 변경할 수 없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6571 - 트윈모션 유저 인터페이스와 다른 언어로 문서가 열리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651 - 앰비언스의 화이트 밸런스 슬라이더에서 컬러가 반전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11662 - 머티리얼의 그린 및 블루 감마 슬라이더의 순서가 뒤바뀌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VR

TM-11223 - 시작 씬의 백그라운드에서 검은색 줄이 나타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TM-7275 - 이제 프레젠터에서 VR 다이내믹 퀄리티 세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M-6353 - Oculus Quest 2 사용 후 TM을 닫으면 크래시가 발생하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알려진 버그 및 제한 사항

클라우드 에셋 - 메가스캔 - 스케치팹

TM-11013 - 클라우드 에셋의 방향이 로컬 에셋과 다릅니다.

TM-10224 - 퀵셀 메가스캔 Variations 창의 섬네일이 낮은 LOD로 표시됩니다.

TM-11097 - 퀵셀 메가스캔 'Mossy Chapel Stone' 에셋 프리뷰 시 텍스처가 없습니다.

TM-11554 - 사각형이 아닌 퀵셀 메가스캔 표면 맵의 크기를 정확히 조절하기가 어렵습니다.

콘텐츠

TM-11494 - 휠이 있는 모든 의료 에셋의 피벗 포인트가 잘못되어 있습니다.

코어

TM-9761 - 유저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랜드스케이프에서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 문제가 있습니다. 이전 버전과의 호환은 현재 지원되지 않습니다.

TM-10170 - 퀵셀 메가스캔 라이브러리의 머티리얼로 랜드스케이프 페인팅 시 블렌딩 모드가 정확하지 않습니다.

TM-10169 - 랜드스케이프 페인팅 시 도크로 드래그한 머티리얼의 디폴트 스케일이 유지되지 않습니다.

TM-10166 - 거리 페이딩이 랜드스케이프에서 올바르게 렌더링되지 않습니다.

TM-11719 - GPU가 호환되는 경우에도 패스 트레이서가 지원되지 않는다는 오류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해상도(Resolution): Windows 운영체제 및 드라이버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세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트윈모션 2023.1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양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TM-11650 - 특정 2023.1 프리뷰 1 파일을 변환하고 열 때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상호운용성

TM-10978 - SketchUp '.udatasmith' 파일을 MacOS에서 임포트 시 임의적으로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TM-10797 -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를 통해 트윈모션에서 익스포트하면, MacOS의 언리얼 엔진에서 디폴트 머티리얼이 밝은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TM-10778 -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를 통해 트윈모션에서 익스포트하면, 언리얼 엔진의 스포트 라이트 원뿔 각도가 비정상적으로 적용됩니다.

TM-10772 -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를 통해 트윈모션에서 익스포트하면, 언리얼 엔진의 물 볼륨에 머티리얼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TM-10793 - 임포트한 FBX 파일에서 유리 머티리얼의 색조 RGB 값이 보존되지 않습니다.

TM-10037 -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를 통해 트윈모션에서 익스포트하면, 언리얼 엔진에서 일부 버스에 양면이 아닌 단면 머티리얼이 적용됩니다.

TM-10036 - 데이터스미스 익스포터를 통해 트윈모션에서 익스포트하면, 언리얼 엔진의 항공기에 머티리얼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TM-11302 - 병합 모드 사용 시 '.udatasmith' 파일 임포트가 비정상적으로 오래 걸립니다.

TM-11266 - 언리얼 엔진 5.1로 임포트한 데이터스미스 파일에서 포즈를 취한 휴먼의 머티리얼이 비정상적으로 적용됩니다.

렌더링 - 익스포트

TM-9542 - 패스 트레이서 모드에서 컬러 섀도에 아티팩트가 있습니다.

TM-11501 - AMD GPU에서 패스 트레이서 사용 시 크래시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TM-11492 - 미디어(Media) 모드에서 패스 트레이서가 연속 두 번 실행됩니다.

TM-11255 - 스노우와 클레이 렌더가 상충됩니다(표면 글리치).

TM-11711 - 패스 트레이서 모드에서 메시의 표면에 방사형 선이 표시됩니다.

해결 방법: 이 문제를 최소화하거나 해결하려면, 카메라(Camera) > 근거리 클리핑(Near clipping) 슬라이더를 조정하거나 피사계 심도 를 활성화하고 세팅을 조정하세요.

도구

TM-8949 - 측정 도구의 헤드 및 테일 컬러가 세션 사이에서 일관되지 않습니다.

TM-8910 - 노트에 대한 페이싱 카메라 세팅을 꺼도 카메라가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습니다.

TM-7341 - Shift + 드래그 로 노트를 복사할 수 없습니다.

TM-10751 - 프레젠테이션 익스포트를 취소할 수 없습니다.

TM-8949 - 레거시 씬을 열 때 측정 도구의 헤드 및 테일 컬러가 일관되지 않습니다.

TM-11316 - 일부 MacOS 환경설정에서 모노크로매틱 템플릿을 다운로드하여 처음으로 로드하면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TM-11272 - 오브젝트의 디폴트 피벗 포인트를 변경하면 커스텀 패스에서 오브젝트 사용 시 피벗 포인트가 디폴트로 돌아갑니다.

TM-11245 - 라이브러리에서 클라우드 에셋 선택 시 뷰포트 안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

TM-11225 - 로컬 프레젠테이션에서 3DConnexionSpacemouse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TM-11638 - 파일 저장 시 LED 월의 크로마 키 컬러 값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TM-11613 - 임포트된 2022.2 파일에서 노트 프리뷰가 깨집니다.

TM-11603 - 채우기(Populate) 도구로 어반에 나무를 추가하면 서로 겹쳐서 배치됩니다.

TM-11602 - 식생 스캐터 도구로 추가한 나무에 실행 취소 명령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트윈모션 클라우드

TM-11512 - 파노라마 세트 익스포트 후 트윈모션 클라우드에 업로드 완료되기 전에 EOS 로그인 창이 나타납니다.

UI

TM-11513 - 자손 항목이 있는 에셋이 디폴트로 병합됩니다.

TM-11327 - 머티리얼 선택 시 머티리얼(Material) 도크가 점프합니다.

TM-11696 - 새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슬라이더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습니다.

TM-11607 - 미디어 도크에서 다른 미디어 타입을 선택했을 때 앰비언스 버튼이 여전히 선택되어 있지만 속성 패널은 더 이상 표시되지 않습니다.

TM-11596 - 미디어 모드를 나가면 잘못된 속성 패널이 표시됩니다.

VR

TM-10548 - Varjo OpenXR 런타임 사용 시 컨트롤러의 햅틱 피드 시간이 너무 깁니다.

TM-10547 - 중앙 영역과 주변 영역 사이의 연속성 문제로 인해 Varjo VR-3 및 XR-3 헤드셋에서 중앙 디스플레이 영역에 에지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고퀄리티 모드에서 더 악화됩니다.

TM-10731 - VR에서 오른쪽 눈에 HDRI가 렌더링되지 않습니다.

TM-11159 - 헤드셋 이동 시 일부 섀도가 남아 있습니다.

TM-11134 - 오른쪽 눈에서 리플렉션 프로브가 검은색으로 렌더링됩니다.

TM-11127 - Oculus Quest 2 컨트롤러 포인터가 직선이 아닙니다.

TM-11126 - 건물 안에서 날씨 이펙트 파티클이 보입니다.

TM-11516 - Varjo 헤드셋에서 섀도가 정상적으로 스케일링 및 배치되지 않습니다.

TM-11782 - HP Reverb G2 VR 헤드셋 시작 시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 SteamVR을 1.25.6 이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트윈모션 문서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주세요!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문서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주세요.
설문조사에 참여해 주세요
건너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