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설정(Preferences) 패널은 세팅(Settings), 퀄리티(Quality), 외관(Appearance) 이라는 세 가지 탭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탭에는 일반 환경설정, 툴 옵션, 뷰포트(Viewport)__ 렌더링 퀄리티 옵션, 미디어 익스포트 환경설정 등 트윈모션을 사용하기 위해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환경설정 패널을 열려면 Ctrl + P 키를 누르거나 메뉴에서 편집(Edit) > 환경설정 으로 이동합니다.
메뉴의 환경설정
세팅
세팅 탭의 옵션은 트윈모션에서 작업하기 위한 일반 환경설정을 정의합니다.
세팅 |
설명 |
||||||||||||
---|---|---|---|---|---|---|---|---|---|---|---|---|---|
유닛 설정(Unit system) |
트윈모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할 단위를 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 미터(Meters) 가 사용됩니다. 옵션: 센티미터(cm), 미터(m), 인치(in), 피트(ft) |
||||||||||||
시간 형식(Time stamp) |
보기 메뉴의 하루의 시간(Time of day) 옵션 및 세팅 > 로케이션(Location) > 하루의 시간 에 하루의 시간이 표시되는 방식을 설정합니다. 옵션: 24시간(24H), 12시간(12H) |
||||||||||||
그래픽 하드웨어 지원(Graphic hardware support) |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에서 DirectX 레이트레이싱(DirectX Raytracing, DRX) 기능에 어떤 버전의 DirectX 기술을 사용할지 지정합니다. 뷰포트에서 패스 트레이서 기능을 사용하려면 DirectX12가 필요합니다. GPU에서 지원되는 경우 기본적으로 DirectX12 가 선택되어 있습니다. 옵션: DirectX 11, DirectX 12 트윈모션의 패스 트레이서 기능은 현재 Windows 컴퓨터에서만 지원됩니다. |
||||||||||||
패스 트레이서(Path tracer) |
다중 GPU 다중 GPU(Multi-GPU) 체크 박스를 선택하여 패스 트레이서를 사용할 때 다중 GPU 지원을 활성화합니다. 샘플 세팅 패스 트레이서의 낮음(Low), 중간(Medium), 높음(High) 프리셋에 사용할 픽셀당 샘플과 라이트 바운스의 최대 개수를 지정합니다. 디폴트 프리셋은 다음과 같습니다.
|
||||||||||||
프로브 해상도(Probes resolution) |
뷰포트의 리플렉션 프로브 해상도 및 이미지, 비디오, 파노라마, 로컬 프레젠테이션(Local Presentations) 을 익스포트할 때의 해상도를 지정합니다. 리플렉션 프로브는 리얼타임 렌더링 모드에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리플렉션, 유리 표면의 리플렉션을 향상하고 거울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뷰포트(Viewport) 와 익스포트(Export) 의 기본값은 256 입니다. 옵션: 64, 128, 256, 512, 1024 리플렉션 프로브로 거울을 만든다면 1024 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스카이돔 해상도(Skydome resolution) |
뷰포트의 스카이돔(Skydomes) 과 백드롭 HDRI(Backdrop HDRIs), 그리고 이미지, 비디오, 파노라마, 로컬 프레젠테이션을 익스포트할 때의 해상도를 정의합니다. 뷰포트 와 익스포트 의 기본값은 중간 입니다. 옵션: 낮음, 중간, 높음 |
||||||||||||
잔디 페이딩(Grass fading) |
뷰포트에 잔디가 표시되기 시작하는 카메라로부터의 거리를 지정합니다. 이 옵션은 식생 페인트(Vegetation Painter) 또는 식생 스캐터(Vegetation Scatter) 툴로 추가한 라이브러리(Library) > 식생(Vegetation) > 잔디와 꽃(Grass and flowers) 또는 세밀한 잔디(Detail grasses) 카테고리의 잔디에만 적용됩니다. 기본값은 중간 입니다. 근거리(Near): 잔디가 카메라로부터 15 미터 거리에서 보일 수 있습니다. 중간(Medium): 잔디가 카메라로부터 30 미터 거리에서 보일 수 있습니다. 원거리(Far): 잔디가 카메라로부터 50 미터 거리에서 보일 수 있습니다. 근거리 를 선택하면 뷰포트에서의 퍼포먼스와 프레임 레이트를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
커스텀 패스(Custom paths) |
유저 라이브러리(User library) 에셋, 다운로드한 퀵셀 메가스캔, 트윈모션, 스케치팹 에셋, 템플릿을 컴퓨터에 저장할 위치를 지정합니다. 기본적으로 파일은 다음 위치에 있는 UserLibrary, QuixelCloudLibrary, TwinmotionCloudLibrary, SketchfabCloudLibrary, TemplatesCloudLibrary 폴더에 저장됩니다.
|
||||||||||||
모션 블러(Motion blur) |
뷰포트 모션 블러(Viewport motion blur) 체크 박스를 선택 해제하여 뷰포트의 모션 블러를 비활성화합니다. 이렇게 하면 원격 데스크톱 환경에서 트윈모션을 사용할 때 트윈모션의 응답성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
||||||||||||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 |
DirectLinkTextures 폴더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데이터스미스 다이렉트 링크(Datasmith Direct Link) 워크플로를 통해 3D 모델을 트윈모션으로 임포트하면, 임포트된 텍스처는 이 폴더에 저장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DirectLinkTextures 폴더를 참조하세요. 기본적으로 파일은 다음 위치에 저장됩니다.
|
||||||||||||
기즈모(Gizmo) |
각도 스냅(Angle snap) 툴을 사용할 때 오브젝트가 몇 도 단위로 증분하여 회전하는지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5도( 5° )입니다. 자동 카메라 마주보기(Auto camera-facing) 옵션을 선택하면 카메라 위치에 관계없이 기즈모가 항상 카메라를 바라봅니다. |
||||||||||||
저장(Save) |
자동 저장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고, 자동 저장 세팅과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지정합니다. 간격(Interval): 자동 저장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합니다. 기본값은 15분 입니다. 숫자(Number): 저장할 파일의 숫자를 지정합니다. 지정된 숫자에 도달하면 새로 저장된 파일이 기존 파일을 덮어씁니다. 기본값은 3 입니다. 패스(Path):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지정합니다. 기본적으로 파일은 다음 위치에 저장됩니다.
|
||||||||||||
익스포트(Export) |
다음과 같은 미디어 익스포트 세팅을 정의합니다. 리플렉션 업데이트(Update reflections): 리플렉터 프로브(Reflector Probe) 리플렉션을 프레임마다 업데이트합니다. 씬에서 이동할 때 리플렉션이 정확해지므로 비디오를 제작할 때 유용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렌더링 시간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워밍업(Warming up): 미디어가 익스포트되기 전에 파티클을 업데이트합니다. 하이트 포그(Height fog) / 연무 퀄리티(Haze quality): 볼류메트릭 포그(Volumetric Fog)의 퀄리티를 향상합니다. |
||||||||||||
수직동기(Vsync) |
활성화(Activate) 체크 박스를 선택하면 뷰포트 내 씬의 프레임 레이트를 제한하여 화면의 새로고침 속도와 일치시킬 수 있습니다. 퍼포먼스를 향상하고 전력 소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트윈모션의 프레임 레이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통계의 FPS 를 참조하세요. |
||||||||||||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
고퀄리티 익스포트(High quality export) 체크 박스를 선택하여 익스포트된 이미지, 비디오, 파노라마, 프레젠테이션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해상도를 향상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비디오 랜덤 액세스 메모리(Video Random-Access Memory, VRAM) 사용량과 처리 시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
||||||||||||
VR |
트윈모션을 가상현실( VR ) 모드에서 볼 때, 이 세팅으로 VR 메뉴를 오른손, 왼손 중 어느 손으로 제어할지 결정합니다. 옵션: 오른쪽, 왼쪽 |
||||||||||||
마우스(Mouse) |
상대 마우스 사용(Use relative mouse) 을 선택하면 특히 펜 태블릿을 사용하거나 원격 데스크톱 환경에서 트윈모션을 사용하는 경우 씬에서 정확한 이동과 오브젝트 드래그가 가능합니다. |
퀄리티
퀄리티 탭의 세팅으로 컴퓨터 화면( 데스크톱 )과 VR 모드 양쪽의 해상도 및 특정 렌더링 기능의 퀄리티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세팅은 뷰포트에서 보이는 퀄리티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익스포트된 이미지, 비디오, 파노라마 또는 프레젠테이션의 퀄리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익스포트된 미디어는 퀄리티 탭의 세팅과 상관없이 항상 매우높음 퀄리티로 익스포트됩니다.
선택할 수 있는 퀄리티 레벨로는 낮음(Low) (25%), 중간(Medium) (50%), 높음(High) (75%), 매우높음(Ultra) (100%)이 있습니다. 각 레벨은 '스크린 퍼센티지'라는 해상도 기반 스케일링 기법을 사용하여 도달된 화면 해상도의 퍼센티지에 해당합니다.
기본적으로 자동(Auto) 이 선택되어 있습니다. 즉, 트윈모션이 컴퓨터의 퍼포먼스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그에 따라 해상도 및 렌더링 기능의 퀄리티를 적용함으로써 트윈모션 내에서 매끄러운 탐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렌더링 기능마다 커스텀(Custom) 퀄리티 세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퀄리티 세팅이 높을수록 트윈모션에서 초당 프레임(frames per second, fps)이 증가합니다.
퀄리티 세팅
아래 표에 각 렌더링 기능의 퀄리티 레벨 세팅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세팅은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퍼포먼스에 영향을 적게 주는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렌더링 기능 |
퀄리티 |
|||||||
---|---|---|---|---|---|---|---|---|
낮음(Low) |
중간(Medium) |
높음(High) |
매우높음(Ultra) |
|||||
섀도(Shadows) 섀도 맵 텍스처의 크기를 지정합니다. |
512x512 픽셀 |
1024x1024 픽셀 |
2048x2048 픽셀 |
2048x2048 픽셀 |
||||
뷰 디스턴스(View distance) 오브젝트에서 확인 가능한 디테일의 수준을 정의하는 레벨 오브 디테일(Level of Details, LOD)을 지정합니다. 레벨은 0 부터 4 까지이며, 가장 낮은 레벨 오브 디테일은 4 입니다. |
4 |
2~4 |
1~4 |
0~4: 모든 LOD 표시 |
||||
이펙트(Effects) 스크린 스페이스 리플렉션(Screen Space Reflections, SSR), 리프랙션, 볼류메트릭 포그의 퀄리티를 정의합니다. |
|
|
|
|
||||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 모션 블러, 앰비언트 오클루전(Ambient Occlusion, AO), 뎁스 오브 필드(Depth of Field, DOF), 렌즈 플레어, 블룸의 퀄리티를 정의합니다. |
|
|
|
|
||||
VR 모드에서는 모든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 퀄리티 세팅 레벨에서 모션 블러와 앰비언트 오클루전이 없음(None) 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
텍스처(Textures) 텍스처의 크기와 텍스처 필터링의 퀄리티를 정의합니다. |
|
|
|
|
||||
안티 에일리어싱(Anti-aliasing) (데스크톱 전용) 안티 에일리어싱의 퀄리티를 정의합니다. |
None |
고속 근사 안티 에일리어싱(Fast approximate anti-aliasing, FXAA) |
템포럴 AA |
템포럴 AA |
||||
VR 모드에서는 안티 에일리어싱(Anti-aliasing) 이 모든 퀄리티 세팅 레벨에서 템포럴 AA(Temporal AA)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포인트 클라우드의 데이터 포인트 밀도를 정의합니다. 포인트 예산은 보이는 포인트의 최대 수입니다. |
포인트 예산(Point budget): 2,000,000 |
포인트 예산(Point budget): 5,000,000 |
포인트 예산(Point budget): 8,000,000 |
포인트 예산(Point budget): 12,000,000 |
기타 퀄리티 세팅
세팅 |
설명 |
---|---|
VR 다이내믹 퀄리티(VR dynamic quality) (VR 모드 전용) |
이 옵션을 선택하면, 트윈모션은 뷰포트의 타깃 렌더링 프레임 레이트가 45 fps( 90 Hz/2)에 도달하도록 퀄리티 세팅을 동적으로 조정합니다. 렌더링 프레임 레이트가 45fps면 VR 멀미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VR 헤드셋 임계값을 사용합니다.(Use VR headset threshold) (VR 모드 전용) |
이 옵션을 선택하면, 트윈모션은 뷰포트의 타깃 렌더링 프레임 레이트를 VR 헤드셋의 새로고침 속도와 일치시키려고 시도합니다. 뷰포트의 렌더링 프레임 레이트를 VR 헤드셋의 새로고침 속도와 일치시키면 VR 멀미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정 제한 사항으로 인해 VR 헤드셋 새로고침 속도는 현재 45 fps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활성화 임계값(FPS로)(Activation threshold (in FPS)) (VR 모드 전용) |
VR 헤드셋 임계값을 사용합니다. 옵션을 선택하지 않으면, 이 세팅은 VR 다이내믹 퀄리티 가 활성화된 프레임 레이트 임계값을 fps 단위로 지정합니다. |
외관
옵션 |
설명 |
---|---|
언어(Language) |
트윈모션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텍스트에 사용할 언어를 지정합니다. 옵션: English, Français, Deutsch, Español, Português, 中文, 한국어, 日本語 |
비주얼 도우미(Visual helpers) |
뷰포트에서 비주얼 도우미를 표시하거나 숨깁니다. 비주얼 도우미는 다음과 같은 라이브러리 에셋을 식별하고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도어 또는 도어를 사용하는 애니메이팅된 엘리먼트와 연관된 것을 포함한 모든 로테이터 및 트랜슬레이터.
비주얼 도우미를 표시하거나 숨깁니다. 키보드 단축키 G 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전체 사운드(All sounds) |
라이브러리(Library) > 오브젝트(Objects) > 사운드(Sounds) 카테고리에서 씬으로 추가된 사운드가 트윈모션과 익스포트된 로컬 및 클라우드 프레젠테이션에서 들리는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사운드가 트윈모션과 프레젠테이션에서 들리려면, 사운드의 오디오(Audio) 세팅이 반드시 활성화(켜짐)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트윈모션 또는 프레젠테이션에서 보행 모드(Pedestrian mode) ( 보기 메뉴 > 보행 모드 )로 씬을 볼 때 풋스텝 사운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합니다. |
데이터 전송 중(Sending data) |
트윈모션 사용 데이터를 에픽게임즈와 공유하는 데 동의할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
풋스텝(Footstep) |
트윈모션 또는 로컬이나 클라우드 프레젠테이션에서 보행 모드 ( 보기 메뉴 > 보행 모드 )로 씬을 탐색하는 경우 앞뒤 좌우로 이동할 때 풋스텝 사운드가 들립니다. 이 세팅은 풋스텝 볼륨(Footstep volume) 에서 풋스텝이 걷는 표면을 지정합니다. 풋스텝 사운드는 전체 사운드(All sounds) 세팅에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옵션: 카펫(Carpet), 콘크리트(Concrete), 유리(Glass), 잔디(Grass), 자갈(Gravel), 그라운드(Ground), 메탈(Metal), 눈(Snow), 물(Water), 목재(Wood) |
풋스텝 볼륨(Footstep volume) |
풋스텝(Footstep) 에서 선택한 표면에서의 풋스텝 사운드 볼륨을 설정합니다. 옵션: 0~100% |